더 나은 세상

clARMOR: A DYNAMIC BUFFER OVERFLOW DETECTOR FOR OPENCL KERNELS 본문

논문리뷰

clARMOR: A DYNAMIC BUFFER OVERFLOW DETECTOR FOR OPENCL KERNELS

leemark 2018. 7. 2. 19:43

http://www.computermachines.org/joe/presentations/iwocl2018_clarmor_presentation.pdf


언젠가는 읽어야죠

7월 30일 드디어 시작!!

2장밖에 안되는 논문은 처음봤다. 이것또한 AMD회사에서 나온 논문이다. 

지난번과 같이 Buffer overflow에 관한 내용인데 뭐가 다른지 봐야겠다.


Abstract

heterogeneous : 여러 다른 종류들로 이뤄진

clARMOR가 이름인데, device상관없이 쓸 수 있고 canary를 이용한다. 핵심이 heterogeneous인지 overhead를 줄이는 것인지는 모르겠다.

memory를 host(CPU)와 device(GPU)가 공유하는데, host의 traditional tool(host-based watchpoints) memory corruption을 찾지 못한다. 아마도 host에서 발생한 memory corruption이 아니라 device에서 발생한 memory corruption에 대해서는 찾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는것 같다.

Accelerator라는 말이 나오는데 device를 의미하는 것 같다.

robust : 원기 왕성한, 팔팔한

Oclgrind는 OpenCL kernel에서 동작하지만 CPU에 있다. 그래서 300배나 느리다. GPU Ocelot도 비슷한 수준.


2. CLARMOR

source modification이 일어나서는 안된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

wrap이 의미하는 것??**********************

cpu가 intel, AMD이어도 상관없고, GPU가 nvidia, AMD이어도 상관없다. 4가지 경우의 수를 모두 실험해 본듯하다.